[김대호의 경제읽기] 10년내 담뱃값 8천원대로 인상 추진…파장은?<br /><br /><br />정부가 국민 건강수명을 연장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며 담뱃값을 10년 이내에 OECD 평균 가격인 8천원대로 인상하는 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파장 살펴봅니다.<br /><br />공매도 재개를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뭉쳐 공매도 세력에 맞서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거대 헤지펀드를 상대로 한 개미들의 전쟁. 어떤 내용인지 잠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좀더 자세한 내용 김대호의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, 오늘도 김대호 박사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 정부가 OECD 평균으로 담뱃값을 올려 건강수명을 연장한다는 중장기 건강증진 대책을 내놨습니다. 세계보건기구 평균 이상으로 인상할 방침이라던데 지금보다 얼마나 인상 되는건가요? 현재 다른 OECD 국가의 담뱃값은 얼마정도 인지도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정부는 담뱃값과 술값에 건강증진부담금을 더하는 방식으로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데요. 현재 담뱃값에 세금은 어떻게 포함되어 있나요?<br /><br /> 담뱃값이 예상대로 인상된다면 흡연율이 얼마나 감소하게 될까요? 담뱃값 인상 때마다 사재기 등 부작용도 많았는데 어떤 논의가 더 필요하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미국의 비디오게임 유통체인 업체인 게임스톱의 이상 주가 급등을 놓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. 최근 5거래일 동안 788%라는 경이적인 상승률을 보였는데 배경으로 개인투자자들과 대형 헤지펀드 간 경쟁이 꼽히더라고요?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건가요?<br /><br /> 이번 주가 반등은 행동주의 투자자인 코헨이 지난해 8월 게임스톱의 상당한 지분을 공개매수하면서 촉발됐다는 이야기도 나오는데요. 어떤 인물이기에 이런 상황까지 발발된거죠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한국거래소는 공매도 재개 후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. 일각에선 섣부르게 재개했다간 한국판 게임스톱 사태가 발생하는게 아니냐는 우려도 표시하는데요. 대책 잘 마련되고 있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게임스톱에 대규모 공매도를 해온 헤지펀드는 수조원의 손실을 보고 구제금융까지 신청했다고 알려집니다. 이번 사건을 두고 증시판 다윗과 골리앗이라는 표현도 나오는데 왜 그런건가요? 구체적으로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어떤 곳이죠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